맨위로가기

하마니 디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마니 디오리는 1916년 프랑스령 니제르에서 태어나, 세네갈에서 교육받은 후 교사로 활동했다. 1946년 니제르 진보당을 창당하고 프랑스 국민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58년 니제르 자치 정부 수반, 1959년 총리를 거쳐 1960년 니제르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친프랑스 정책과 일당 독재를 펼쳤으나, 정치 부패와 사헬 가뭄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1974년 쿠데타로 축출되었고, 이후 모로코에서 거주하다 1989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제르의 총리 - 마하마두 이수푸
    마하마두 이수푸는 1952년생의 니제르 정치인으로, 광산 엔지니어 출신이며, 1993년부터 1994년까지 총리를, 2011년부터 2021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했고, 1990년 창당 이후 니제르 민주 사회주의당을 이끌었으며, 퇴임 후 국제 위기 그룹 이사회 이사로 활동한다.
  • 니제르의 외무장관 - 모하메드 바줌
    모하메드 바줌은 니제르의 정치인으로 2021년부터 2023년 쿠데타로 축출될 때까지 니제르의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교사 및 노동조합 활동을 거쳐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장관직을 수행했으나 현재 군부에 의해 구금된 상태에서 반역죄 혐의로 기소될 위기에 처해 있다.
  • 니아메 출신 - 알리 모하메드
    니제르 출신 축구 선수 알리 모하메드는 AS FAN에서 데뷔하여 유럽 리그와 이스라엘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니제르 국가대표팀으로도 뛰었고 이스라엘 거주 자격을 취득했다.
  • 니아메 출신 - 압둘 라자크 이수푸
    압둘 라자크 이수푸는 니제르의 태권도 선수로,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여 니제르 선수 최초의 올림픽 메달을 안겼다.
하마니 디오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1968년의 하마니 디오리
1968년의 디오리
이름하마니 디오리
출생일1916년 6월 6일
출생지니제르, 수두레
사망일1989년 4월 23일
사망지모로코, 라바트
배우자아이사 디오리
자녀압둘라예 하마니 디오리
친척지보 바카리(사촌)
정치 경력
소속 정당니제르 진보당-아프리카 민주 집회
니제르 대통령
대수초대
임기 시작1960년 8월 3일
임기 종료1974년 4월 15일
이전자신 (니제르 총리, 프랑스 공동체)
이후세이니 쿤체
니제르 총리
대수초대
임기 시작1960년 8월 3일
임기 종료1960년 11월 10일
니제르 자치 정부 의장
대수2대
임기 시작1958년 12월 18일
임기 종료1960년 8월 3일
니제르 외무장관
임기 시작1960년 11월 10일
임기 종료1963년
임기 시작1965년
임기 종료1967년
겸임대통령 (자신)
프랑스 국민의회 의원
임기 시작1946년 11월 28일
임기 종료1951년 7월 3일
임기 시작1956년 1월 19일
임기 종료1959년 7월 15일
임기 시작1965년 9월 30일
임기 종료1967년 4월 14일

2. 초기 생애 및 교육

1916년 프랑스령 니제르 식민지의 수도 니아메 근교 수두르에서 프랑스 식민 정부 공중 보건 담당관의 아들로 태어났다.[1] 세네갈 다카르의 윌리엄 폰티 고등사범학교에서 교육받았으며, 1936년부터 1938년까지 니제르에서 교사로 일했다.[1] 이후 파리의 해외 유학 연구소에서 하우사어와 제르마어 외국어 강사로 활동했다.[1] [2]

3. 독립 운동

1958년 니제르에 자치 정부를 부여하는 국민 투표 이후, 디오리는 임시 정부의 대통령이 되었다. 1959년 공화국의 총리가 되었다.

3. 1. 니제르 진보당 (PPN) 창당

1946년, 니아메에서 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하마니 디오리는 아프리카 민주 연합(RDA)의 지역 지부인 니제르 진보당(PPN)을 창립했다. 디오리는 PPN의 당수로서 친프랑스 정책을 내세우며, 사촌이자 정치적 라이벌인 사회주의자 지보 바카리의 니제르 민주 연합과 대립했다.[2]

3. 2. 프랑스 국민 의회 활동

1946년, 니제르의 수도 니아메에서 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하마니 디오리는 아프리카 민주 연합(RDA)의 지역 지부인 니제르 진보당(PPN)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1] 그해 말, 디오리는 프랑스 국민 의회에 선출되었다.[1] 1951년 선거에서 디오리는 사촌이자 정치적 라이벌인 지보 바카리에게 패배했다.[1] 1956년 다시 의회에 선출되었고 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1]

3. 3. 자치 정부 수반

1958년 니제르에 자치 정부가 수립된 후, 디오리는 임시 정부의 대통령이 되었다. 1959년 공화국의 총리가 되었다. 그는 프랑스 제5공화국 성립과 함께 니제르에 자치 정부가 탄생하자 자치 정부 수석에 취임했고, 같은 해 지보 바카리를 망명시켰다.[2]

3. 4. 독립과 대통령 취임

디오리(왼쪽)가 1968년 미국 국무부 아프리카 담당 차관보 조셉 파머 2세와 인사하고 있다.


1960년 8월 3일, 니제르는 프랑스로부터 완전히 독립했으며, 같은 해 11월 디오리는 국가 의회에서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 디오리는 독립을 지지하는 하우사족, 풀라족, 제르마족 지도자들과 족장, 전통주의자들의 강력한 연합을 조직하여 프랑스의 지지를 얻었다.[1]

3. 5. 일당 독재와 친프랑스 정책

디오리는 독립 직후, PPN을 유일하게 합법적인 정당으로 만들었다. 그의 정부는 전통적인 사회 구조를 유지하고 프랑스와 긴밀한 경제적 관계를 유지하는 정책을 선호했다.[1] 1960년대 초부터 그는 PPN 정치국에 소속되어 내각조차 거의 거치지 않고, 독립 이전의 소수 인물들을 통해 통치했다. 디오리는 공화국 대통령이자 PPN 당수를 겸임했을 뿐만 아니라 여러 부처를 직접 이끌었다. 1960년부터 1963년까지 그는 니제르 국방부 장관과 니제르 외무부 장관을 겸임했으며, 1965년부터 1967년까지 다시 외무부를 장악했다.[1] 디오리의 고문 중 가장 두드러지고 아마도 가장 강력했던 인물은 작가이자 니제르 국회의장인 부부 하마였으며, 한 작가는 그를 디오리 통치의 "책사"라고 불렀다.[2] 니제르 국회는 정부의 입장을 비준하기 위해 주로 의례적인 연례 회의를 열었다. 의회 대표로 선출된 전통적인 유력 인사들은 종종 정부의 제안을 만장일치로 지지했다. PPN 대통령으로서 디오리는 공화국 대통령의 유일한 후보였으며, 1965년과 1970년에 무투표로 재선되었다.[3]

3. 6. 외교 활동

디오리는 아프리카 문제의 대변자이자 다른 아프리카 국가 간의 분쟁에서 중재자로서 국제적인 존경을 받았다.[4] 그는 세네갈의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등과 함께 프랑스어 사용 국가 기구 설립에 기여했다.

1960년 니제르 독립과 함께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디오리는 친프랑스 외교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프랑스 신식민주의"에 반대하는 학생과 노동조합의 시위가 일어났고, 1972년 조르주 퐁피두 프랑스 대통령의 니제르 방문 당시 우라늄 생산 투자 수준에 대한 불만을 표명하면서 프랑스와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4]

디오리는 중도 노선을 표방하며 비동맹주의 외교를 추구하였으며, 대한민국과는 1961년에 수교하였다.

3. 7. 국내 통치의 어려움과 몰락

디오리 행정부는 정치 부패로 만연했고, 정부는 절실히 필요한 개혁을 시행하거나 1970년대 초 사헬 지역의 사헬 가뭄으로 인한 광범위한 기근을 완화하는 데 실패했다.[4] 1963년 12월에는 다호메이 공화국과의 국경 분쟁과 동시에 일어난 쿠데타를 진압해야 했다.[4] 1965년에는 암살 시도를 모면하기도 했다. 사와바 회원들의 군사 쿠데타 시도와 공격에 직면하여 그는 프랑스 고문과 군대를 사용하여 그의 통치를 강화했다. 프랑스와의 긴밀한 관계는 "프랑스 신식민주의"라고 묘사된 것에 반대하는 학생 및 노동 조합의 시위로 이어졌다.[4]

1974년에는 사헬 지대에서 대가뭄이 발생하여 니제르 국내 가축의 60%에 해당하는 약 100만 마리의 가축이 손실되었고, 2년간 흉작이 이어져 니제르 경제는 피폐해졌다. 게다가 구호 물자의 횡령과 대책 실패가 문제가 되었다.[4]

이러한 상황에서 1974년 4월 15일, 세이니 쿤체 중령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디오리 정권은 붕괴되었다.[4] 디오리는 6년 동안 투옥되었고, 1980년 석방된 후에도 1987년까지 가택 연금 상태에 있었다.

4. 몰락 이후

디오리는 1974년 4월 15일 세이니 쿤체 중령이 일으킨 쿠데타로 인해 권력을 잃었다. 그는 6년 동안 투옥되었고, 1980년에 석방되었으나 1987년까지 가택 연금 상태에 있었다. 가택 연금에서 풀려난 후 모로코로 이주하여 1989년 4월 23일 라바트에서 7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iger https://archive.org/[...] Scarecrow Press
[2] 서적 Coups and Army Rule in Africa Yale University Press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iger https://archive.org/[...] Scarecrow Press
[4] 서적 Coups and Army Rule in Africa Yal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